살아가는 이유_EU 2025. 1. 25. 20:08
728x90
반응형

[스프린트] 란?

  • 구글 벤처스 서빗 기획 방시긍로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아예 새롭게 만들어내기 위한 관계자들이 5일 안에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실용적인 서비스 전략
  • 1일차 : 하나의 기능에 대해서 실용적으로 접근
  • 2일차 : 해결방식

[ 국내에서의 스프린트 ] - 2주 단위로 기획 - 개발 - QA - 출시까지의 업무로 Water fall 방식과 달리 짧은 제품 주기를 가즌다.

스프린트 기간 2주

제품 개발 —- 2주

QA 시작, QA 종료, 배포 —-1주

앞서서 엔지니어분들이 2주단위로 스프린트를 할 때

  • 결과물이 완벽하지 못할때? 다음 스프린트 준비할 기간이 없다. 라고 했는데
  • 2주는 이제 QA 를 손봐야할 부분이 적어지게 된다.
  • 쿨다운 기간 1주

스프린트 운영 자체가 이제 쉬운 일은 아니다.

  • 목표에 대해서 얼라인 하는 것이 되어있으면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…
  • 우리 팀에게 맞는 최적의 기간을 찾아내는 것.
  • 업무/프로세스를 제시하는 것.

[ Spring 준비 ]

  • 스프린트 계획 = 기획
  1. 서비스의 재료가 되는 것부터 생각한다 → 데이터 (Data )
    1. 내 주변의 병원을 찾고 예약하는 서비스를 만든다고 가정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마인드맵을 만들어봅시다.
    2. 해당 요소를 어떻게 디자인을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이제 확인하고 이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.
    3. 지도화면과 상세화면에 대해서 이제 서비스를 만들고 그다음에 해당 기술적인
  2. 요구사항 도출
    1. 백오피스를 어떻게 구성할지 정한다.
    2. 이부분은 아무래도 c level 에서
728x90
반응형